PER, PBR, ROE, EPS 뜻, 주식 용어 사전 & 정리했어요

PER,PBR,ROE,EPS의의미,주식용어사전&정리했습니다.안녕하세요. 오늘은 주식 용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아래 목차 내용을 소개해드리니 참고하시면서 따라오세요!1.EPS설명2.PER설명3.PBR설명4.ROE설명1.주식용어-EPS의의미는?EPS는 주당 순이익을 의미합니다.기업이 일정 기간 창출한 순이익에 대해 주식 1주당 갖는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주당 순이익, 즉 EPS가 높다는 것은 그만큼 기업이 일정 기간 창출한 순이익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EPS는 아래 식으로 산출합니다.예를 들어 회사 A가 당기순이익으로 1000만원을 창출하고 총 주식 수는 100주라면 EPS는 10만원입니다.따라서 주식 1주는 해당 기업이 벌어들인 순이익에 대해 10만원의 가치를 지닌다고 볼 수 있습니다.EPS는 언제 사용될까요?대부분의 EPS는 그 자체로 사용되기보다는 PER를 계산할 때 쓰이기도 합니다.PER는 바로 아래 문장에서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 주식 용어 – 자주 사용되는 PER의 의미는?가장 많이 쓰이는 PER은 언제 활용할까요?주로 해당 기업이 동종업계 기업 대비 저평가/고평가를 판단하기 위해 사용합니다.예를 들어 네이버와 카카오 중 어느 회사가 더 저평가되어 있을까요?라는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주가만 보고 판단해서는 안 됩니다.주식 초보자라면 네이버 주가는 20만원대이고 카카오는 8만원이니까 카카오가 더 싸다고 할 수도 있어요…는 페이크가 아닙니다.또는 네이버의 시가총액은 30조원대, 카카오는 22조원대이기 때문에 카카오가 더 싸다고 이야기하면 안 됩니다.이처럼 동종업계에서 상대적인 저평가/고평가를 판단할 때 주가수익비율(PER)을 활용합니다.PER은 얼마나 버는가, 즉 기업이 이익을 내는 것에 대한 주가를 의미합니다. PER은 ‘Price-to-Earnings Ratio’의 약자로 한국어로는 주가수익비율이라고 불립니다.가끔 ‘P/E’라고 쓰기도 해요.아래와 같이 기억해 두면 더욱 직관적입니다.’돈 벌고 주가는 싼 기업=PER가 낮은 기업’ PER은 낮을수록 투자자 입장에서 매력적입니다.돈은 벌지만 주가는 낮은 기업이라는 뜻이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PER가 높은 종목은 버는 이익에 비해 주가가 너무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PER는 주가를 주당순이익(EPS)으로 나눈 것입니다.’PER=주가/주당순이익’, 이 공식을 이해해주세요.분모인 주당 순이익과 분자인 주가에 각각 발행된 주식 수를 곱해 봅시다.분모는 당기순이익이 되고 분자는 시가총액이 됩니다.즉, ‘PER=시가총액/당기순이익’이 되는 것입니다.즉 PER은 현재 그 기업의 시가총액이 당기순이익의 몇 배인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위에서 예시로 든 네이버 PER을 직접 찾아보겠습니다.네이버의 23일 종가 기준 시가총액은 29조2000억원입니다.그리고 네이버의 올해 예상 당기순이익은 8734억원 정도입니다.시가총액을 당기순이익으로 나눈 값 33.43이 네이버의 PER가 됩니다.보통 33.43배라고 씁니다.PER를 다른 의미에서도 사용합니다.카카오 PER이 8.54배라는 것은 카카오에 투자했을 때 그 투자금을 회수하기까지 8.54년이 걸린다는 뜻입니다.카카오의 지분을 100%확보하는 데 드는 비용과 카카오가 벌연간 수익을 비교했을 때 그렇다는 뜻입니다.당연히 투자금을 빨리 회수하는 것이 좋아 PER는 낮을수록 좋습니다.같은 기업에서도 매년 당기 순이익이 바뀌므로 PER도 달라집니다.한 회사가 지난해 100억원을 벌어 주가는 1만원이었다고 합시다.올해 200억원을 벌것으로 예상되지만 주가가 여전히 1만원이면 PER은 절반으로 떨어지게 됩니다.주가는 그대로이지만 주가는 이전보다 절반 수준으로 저평가된 것입니다.일반적으로 PER는 10~12이 적당하다고 평가됩니다.전회의 거품 시장에서는 미국 주식인 아마존과 국내 기업 카카오 뱅크 PER이 300까지 오른 적도 있었습니다만, 확실히 거품 of거품이라고 할 수 있겠죠. 3. 삼가 보이는 PBR의 의미는?PBR(Price to Book Ratio: 주가순자산비율)은 주가를 주당 순자산으로 나눈 것입니다.용어가 감이 안 올 수도 있어요. 예를들어볼까요?회사 A의 주가가 2000원이고 주당 순자산이 1500원이라면 주가순자산비율은 2000/1500=1.333입니다. 즉 회사 A의 PBR은 (주가순자산비율) 1.3이 됩니다.아래 공식에서는 BPS라는 개념도 나오는데, 그냥 주당 순자산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그러나 여기서 중요한 것은 1.3을 계산한 방법이 아니라 도대체 PBR을 어떤 의미로 받아들여야 할지입니다.만약 PBR이 1이면 주가가 순자산의 1배로 팔린다는 얘기입니다. 혹시 PBR이 100이면 주가가 순자산의 100배로 팔라는 말입니다.여기에서 1배인 100배가 왜 중요한지에 대해서 살펴봅시다. PBR은 해당 회사가 폐업하면서 주식 1주당 뿌려지는 돈을 의미합니다.회사가 영업 부진으로 폐업하면서 주식 한장당 1만원이 떨어지면 주가도 당연히 1만원은 돼야 합니다.상식적으로는 주가는 PBR수치보다 높지 않으면 안 됩니다.현재 회사를 정리하고 주식에 주주 수만큼 분배 금액이 PBR이므로, 적어도 주가는 PBR수치보다 높지 않으면 안 되죠?실제로 주식 시장을 보면 대부분의 주식 PBR은 1보다 큽니다.그러나 저평가 섹터/기업에서는 PBR1 미만의 기업을 많이 볼 수 있습니다.대표적으로 건설주가 여기에 속합니다.반대로 주당 순자산에 비해 주가가 상당히 높은 기업이 있습니다.대표적으로 바이오/제약주가 여기에 속합니다.주당 순자산이 비록 작더라도 향후 성장성이 높은 기업이라면 주가가 높아질 수도 있습니다.절대적으로 주당 순자산과 주가가 일치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무조건 공식처럼 기억해서는 안 됩니다.주식시장에서 PBR을 이용하는 방법 중 하나는 다음과 같습니다.* 0.7/1.5라는 수치는 하나의 예이지 절대적인 지표가 아닙니다!!주가순자산비율이 0.7 이하라면 매수를 적극 고려해 보라고 합니다.즉, 주가가 주당 순자산에 비해 저평가돼 있다면 매수를 적극 고려해 보라고 합니다.그리고 주가순자산비율이 0.7-1.5 사이라면 다른 지표와 비교하면서 매수를 고려해볼 만합니다.그러나 주가 순자산 비율이 1.5 이상이면 조심해야 합니다.그러나 위 내용에 따라 무조건 주식을 구입해서는 안 됩니다.다른 지표를 고려하면서 매입해야 합니다.항상 지표는 참고 용도로만 사용하십시오. 4. 낯선 ROE의 의미는?ROE는 ‘Return on Equity’의 약자로 자기자본 대비 수익률이라고 합니다.기업이 자본을 이용하여 얼마나 많은 이익을 냈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입니다.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당기순이익은 기업이 일정 기간 벌어들인 순이익이며 자본총액이란 기업이 투자한 자기자본입니다.예를들어볼까요? 회사 A가 있습니다.10억원의 자기자본을 들여 회사를 설립했습니다.10억원으로 순이익 1억원을 냈다면 A사 ROE는 10%가요.여기서 자본 총액과 시가 총액을 혼동해서는 안 됩니다.시가총액은 주식시장에서의 회사가치로 변동성이 심하지만 회사에 실제 투입된 자기자본은 10억원입니다.여기서 ROE을 어떻게 받아들이느냐가 중요합니다 ROE는 주주의 돈의 돈을 얼마나 잘 운용했는지에 대한 지표입니다.다시 말하면 기업이 자기 자본(주주 지분)을 활용하고 1년간 얼마나 벌었는가를 보여대표적인 수익성 지표로서 경영 효율성을 나타냅니다.ROE가 타사보다 낮으면 경영진이 무능하거나, 그 업종이 불황이란 의미이기도 합니다.ROE가 높다는 것은 자기 자본에 비해서 그만큼 당기 순이익을 많이 내고 효율적인 영업 활동을 했다는 뜻입니다.그래서 이 수치가 높은 종목일수록 주식 투자가의 투자 수익률을 높인다라고 볼 수 있고, 투자가의 측면에서는 이익의 척도가 됩니다.그럼 ROE는 얼마나 될까요? 절대적 기준은 없습니다.일반적으로 ROE가 회사채 수익률보다 높으면 좋다고 평가되고 적어도 국채 수익률보다는 높아야 효율적인 경영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본다 합니다.예를 들어 은행의 이자율이 5%인데 ROE이 4%라면, 해당 회사는 돈을 잘 운용할 수 없었습니다. 문 완성오늘은 EPS, PER, PBR, ROE에 대해서 알아봤는데요.각 용어의 정의를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단순한 정의뿐만 아니라 의미를 받아들이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그리고 이 수치들은 항상 절대적인 수치로 이해해서는 안 되며 동종업계의 다른 기업과의 ‘비교’용으로만 사용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건설주 대부분은 PER/PBR이 1이 되지 않으며 제약은 10을 초과하기 때문입니다.그렇다고 절대 무조건 제약이 건설보다 낫다는 뜻은 아닙니다.즉, 이러한 지표는 동종 업계에서 비교하기 위해서만 사용되어야 합니다. 꼭 기억해주세요!!오늘 지표정의를 잘 숙지하셔서 투자 시 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error: Content is protected !!